본문 바로가기
코인 투자

코인 투자의 시작.

by 주코베스트 2024. 2. 6.
반응형

비트코인이 생긴 지 19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가치를 알 수 없고 과연 이게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있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었을까요? 하지만 지금 1 비트코인 가격이 58,727,000원을 하고 있으며, 더 높은 가격에서 거래가 되기도 했습니다.

 

저는 주식을 하면서 가치가 없는 물건에 저런 가격이 붙으며 거래가 되는 게 이해되지 않아 매매할 생각도 없었습니다. 어느 날 지인이 코인 투자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같이 대화를 나누고 나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비트코인을 하기에 앞서 가상화폐는 과연 화폐의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 화폐의 가치가 없다면 과연 왜 1 코인당 약 6천만 원의 가치를 받고 있으며 거래가 되는지에 대해 알아봐야 합니다.

 


 

● 화폐의 세 가지 조건

 

1. 교환매개수단         →        화폐는 재화나 서비스를 교환할 때 교환 수단으로 쓰여야 한다.

2. 가치 저장의 수단    →        화폐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꾸준히 인정받아야 한다.

3. 가치 척도의 단위    →        화폐는 상품의 교환 가치를 가격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비트코인은 위에서 화폐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1번 교환매개 수단으로 비트코인은 온라인 거래소나 오프라인 ATM기기를 통해 원화나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와 교환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보유한 지갑으로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환의 매개 수단으로써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2번 가치저장의 수단으로는 2009년 이후 가격이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처음 발표된 시점에 비트코인 1개의 가격은 0.00076달러였습니다. 그러나 2021년 7월에는 40,000달러 까지 상승하고 수요로 인해 금전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치가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할 경우 비트코인은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3번 가치척도의 측면으로써 화폐로 이용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이 그 가치를 안정적으로 느끼며 거래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의 화폐의 가치가 내일과 크게 다르다면 사람들은 서로 약속한 가치를 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화폐보다는 시세차익을 얻기  위한 투자 자산으로 여길 가능성이 큽니다.

비트코인은 가격변동이 크기 때문에 가치척도의 수단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변동성이 줄어들고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돼야 아 합니다.

 

 

아직까지 완벽하게 화폐로 진정받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치를 인정하게 됐고, 나라의 화폐를 비트코인으로 하려는 행위도 나오게 됨으로써, 가치는 점점 확실해지며 가격은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봅니다.


● 주식은 주도주 코인은 비트코인

 

주식과 코인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큰 틀은 시세차익을 통한 수익이기 때문에 가격 또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요즘 코스닥과 코스피를 보면 우리나라의 기업의 가치를 인정받아 주가가 오르고 하락하는 게 아닌 단순히 외국인 자본과 세력의 힘으로 가치를 좌지우지하는 것을 보고 회의감이 많이 들기도 했습니다.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 끝없이 하락하는 주가 보다 화폐로써 100% 인정은 받지 못하지만 누구나 알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사고, 팔고 하는 곳에서 매매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주식도 주도주를 해야 하며, 인기가 있고 사람이 몰리는 곳에서 매매를 해야 수익도 크게 얻고 손실도 줄일 수 있습니다. 결국 유동성이 중요하며 이를 충족시키고 365일 24시간 운영하는 곳에서 내가 확실하게 분석하고 공부한 위치에서만 욕심 없이 매매한다면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앞으로 코인 매매에 대한 포스팅을 많이 다룰 예정이며, 매매하면서 느끼는 감정과 분석을 공유할 것입니다. 기대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