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력주 기본 이론

매물대는 항상 조심하자

by 주코베스트 2023. 12. 17.
반응형
매도하면 상승하고, 매수하면 하락한다.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에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말이 계속 나오고 이런 경험을 계속하게 되는지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보셔야 하는데, 세력주, 테마주매매에서 항상 머릿속에 생각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바로 개인들이 손절할 때 매수, 매수할 때 매도입니다.

 

가만히 흘러가는 주가가 갑자기 거래대금 500억 이상 터지면서 누군가의 개입이 시작되면 그게 과연 개인투자자일 수 있을까요?  세력이 주가를 원하는 가격에 매도하여 수익을 내기 위한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차트를 보고, 그럼 세력이 팔고 싶은 가격대로 가기 위해 어떻게 파동을 만들어 가는지는 이전 포스팅에 계속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력은 누구보다 개인들의 심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디서 매도하고 매수하는지 알아서 개인투자자들의 물량을 더 매집하여 큰 수익을 내게 됩니다.


 

▶ 매물대

 

매물대는 주가가 박스권, 또는 고점을 찍으면서 손절하지 못하거나 물려있는 개인투자자들이 많은 곳을 의미합니다.

본전이 올 것이라는 희망으로 1개월, 3개월 많이는 1년 동안 팔지 않고 기다리는데, 이때 가격이 급등해서 본전이 온다면 과연 거기서 안 팔고 버틸 수 있는 개인투자자들이 있을까요? 그동안 마음고생도 많이 하고 기회비용도 날리면서 버틴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바로 본전에 팔고 그 물량을 세력이 빠르게 흡수합니다. 

 

이슈를 이용하여 빠르게 상승시키기 위해 이런 방법을 사용하고, 매물대의 물량을 먹었으면 당연히 주가를 내려 또 한 번 개인투자자들이 매도하게 만듭니다.

 

퀼리타스반도체

 

 

상장하고 큰 하락을 거친 후 11/29일 매물대까지 상승하여 매물을 소화해 줍니다. 그러면 당연히 하락을 통해 개인들의 손절을 받아내고, 첫 번째 별표에 돈이 들어오며 앞 매물을 다시 소화하기 위해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12/12일 앞 매물대를 또 한 번 소화시켜 주고, 하락하게 되는데 이때는 두 번째 별표에 매수하거나 12일 고점을 돌파할 때 매수해야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 설명드렸던 W파동을 만들었으며 매물대를 빠르게 소화해 준 경우 큰 상승이 나오기 전 흐름이므로 12일 이후는 관심종목에 넣어 계속 장중에 체크해야 합니다.

 


 

 

아시아나IDT

 

 

22년 12월 매물대를 소화해 주는 흐름이 23년 11월에 나오고 또 한 번 빠르게 소화해 줍니다. 이때 이슈 또한 붙었겠죠?

매물대 3에서 큰 하락을 통해 개인들의 물량을 받아내고 12/7일 별표에서 앞 물량을 다 받아내는 상한가를 만듭니다.

이때부터 지켜봐야 하는데, 매물대를 해소시키고 큰 하락으로 개인들의 물량을 받고 상한가를 만들면서 앞 구간의 손절과 밑에서 산 익절물량까지 다 먹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럼 12/8일 매수가 가능하고, 이후 지지가 잘 나오는 이유는 22년부터 매집해 온 물량을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27일 상한가 가격을 깨지 않는 지지가 나오며 거래량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칩스앤미디어

 

 

7월 매물대를 소화하는 흐름은 11/13일에 나오게 됩니다. 그 사이에 매물을 소화하는 흐름이 나오고 물량을 매집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매물대에 주가가 올라오면 하락하는 모습을 계속 보이고 있습니다. 하락을 멈추고 돈이 다시 들어오는 시점을 잘 보셔야 합니다. 7월 매물을 소화하는 11/13일 이후 관심 종목을 넣어 돈이 다시 들어오며 매물대를 돌파할 때, 돌파매매를 하셔야 합니다.

 

어떤 자리에선 돌파가 나오는데, 어떤 자리에서는 하락하는 이유가 이해되나요?

 


 

▶ 매물대 돌파

 

매물대에 매도를 하다 보면 하락할 줄 알았는데, 갑자기 돌파하여 신고가를 향해 상승하는 경우를 겪어 보셨을 겁니다.

저 또한 매물대에 매도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종목은 매물대를 돌파하여 30%,50% 이상 상승하는 경우를 많이 겪어 봤습니다.

 

상승하는 종목들의 특징을 모아 공부해 보고 알게 된 것 중에 몇 가지를 적어 보겠습니다.

 

 

1. 충분히 매집된 기간이 길고, 개인들의 손절을 받아낸 기간이 있는 경우.

 

2. 시황과 재료, 테마, 이슈가 좋은 경우

 

3. 이평선 수렴이나 120일선 밑에서 돌파하여지지 하는 경우

 

 

위의 3가지 말고 더 많은 경우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입니다. 매집된 기간이 길고 손절을 받아야 물량을 많이 매집할 수 있고, 그 매집된 물량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좋은 재료, 이슈, 시황이 받쳐줘야 합니다.

또한 이평선은 개인들의 평단가를 추측할 수 있는 선이기 때문에 마지막 기술적 분석에서 꼭 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파동을 이해한다면 어디까지 상승할지도 예측이 가능합니다. 준비 기간이 짧고 이슈가 약하다면 당연히 상승폭이 크지 않을 것이고 개인들의 물량을 많이 매집하지 못했다면 돌파하여 수익을 낼 때, 개인들의 익절 물량을 감당하기 힘들어 세력 또한 수익을 크게 낼 수 없어 상승 폭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큰돈이 들어왔을 때 의도를 알아야 합니다. 앞 매물을 어떻게 소화하고 손절물량을 받아서 상승시킬지 계속해서 생각하여 내가 어느 구간에서 매수해야 손절은 짧고 수익을 크게 낼 수 있는지 연구해야 합니다.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생각을 멈추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내 개인의 심리를 최대한 없애고, 다중의 심리 입장에서 이 구간에서는 어떤 식으로 생각할지 고민해 보시면 좋은 공부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