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처음 공부하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많습니다.
각종 지표와 캔들 모양에 따른 의미, 개인 외국인 기관 수급 등등 볼 것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죠.
그래도 기본적으로 흐름을 생각하면 좋은데 흐름을 보기 위해선 지지와 저항이 꼭 필요합니다.
지지 저항뿐만 아니라 추세도 중요하지만 제일 기본이 되는 지지와 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식을 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인 지지와 저항입니다.
기초적이지만 아주 중요한 내용이기에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번 자리가 저항받던자리였는데 2번에서 돌파하게 되면서 3번 자리에 지지가 형성됩니다.
1번 자리에서 지지받던 자리였는데 2번에서 하향 돌파하게 되면 상승 시 3번 자리에서 저항이 형성되게 됩니다.
100% 확률로전 저점 , 전 고점에서 지지와 저항이 발생하진 않지만 높은 확률로 발생하게 됩니다.
지지 : 저항을 받던 자리가 돌파되면 지지가 됨
저항 : 지지받던 자리가 하향 돌파되면 상승할 때 저항이 됨
이것이 기본적인 원리입니다.
지지와 저항이 만들어지는 이유에는 많은 이유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저는 사람의 심리와 세력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량주나 코스피 100 종목은 시가총액과 거래대금이 워낙 커서 세력에 의해 주가가 만들어지기 힘들긴 합니다.
● 지지, 저항이 만들어지는 원리
- 사람의 심리가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경우
- <세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경우
저는 주로 테마주 또는 세력주를 하기 때문에 2번을 주의 깊게 찾아봅니다.
테마주와 세력주는 코스닥 종목에 많고 시가총액이 크지 않으며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게 어느 정도
명확히 보이는 편입니다.
그래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는 수급, 거래량, 재료입니다.
☆핵심 포인트
<수급> <거래량> <재료>
▶수급(거래대금)
- 이 종목에 들어온 돈의 규모
▶거래량
- 거래량이 상승하고 주목받게 되며 매매 기회가 생김.
▶재료
- 이 주식이 상승할 수 있는 명분.
이 3가지가 한 번에 발생되며 거래량이 증가하고 재료가 나오며 장대양봉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장대양봉을 기준으로 매매를 하게 되면 어느 정도 기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종목이 재료 소멸이 아니라면 지지를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장대 기준봉
지지라인과 저항라인을 체크 시 <거래량> 또는 <거래대금>이 재료와 테마와 함께
크게 상승했던 봉을 장대기준(기준봉) 장대 기준(기준봉)으로 합니다.
● 재료와 테마를 가지고 상승하는 주가의 모양
주가가 상승하며 저항을 돌파하고 다시 하락하며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 하는 부분은 빨간 동그라미입니다.
V자 반등이 나오며 시장 참여자들에게 매력적인 가격을 생성했고 또한 세력에 의해 관리를 받는 자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지라인 중요 포인트>
- 지지라인 v자 반등에 나온 가격
- V자 반등에서 매력적 가격 생성
- 세력에 의해 관리받은 자리(가능성 높음)
- 거래대금이 집중되고 재료가 유효한 종목
- 지지와 반등 잘 생성됨
-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음
제일 우선으로 봐야 하는 부분은 이종목이 재료가 유효하고 돈이 몰리는 종목이어야 합니다.
재료도 없고 돈이 몰리지도 않으면 차트는 자연스럽게 하락하게 됩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가격이 너무 싸다고 느끼는 순간에 매수자들이 몰리고 잠깐 상승 후 다시 하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경우엔 세력이 매집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가 유효하고 돈이 몰리는 종목은 상승 후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세력이 주가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이 더 명확히 발생하게 됩니다.
모든 종목이 이렇게 상승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세력주 차트를 보면서 앞으로 이러한 움직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조금이나마 주식을 보는 시야가 넓어질 거라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는 강한 세력주의 저항 돌파와 지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세력주 기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력의 매집봉. (0) | 2022.10.05 |
---|---|
급등 후 기간 조정. (0) | 2022.10.03 |
세력이 있는 주식. (0) | 2022.10.02 |
가치 투자의 의미 (0) | 2022.09.29 |
강세주 저항 돌파 후 지지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