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의 마지막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이평선은 <매수자들의 평균가>이며, 일봉 기준 5일선은 5봉 캔들 , 10일선은 10봉 캔들 , 20일선은 20봉 캔들의 매수자들의 평균가를 의미합니다. 그럼 이평선이 좁혀졌을 때와 벌어졌을 때 이평선 매수자들의 수익구간과 손실구간을 보시는 눈이 생겼을 것입니다.
▶세력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그리고 제가 늘 말씀드리는 것 중에 하나인 세력입장에서 생각을 해봅시다.
세력은 만원의 주가를 2만 원, 3만 원으로 만들기 위해 주가를 매집해야 하고, 그 이상 가기 전에 개인투자자들의 물량을 가져오거나 털어내야 합니다. 이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세력은 자선사업가가 아니기 때문이죠.
그래서 어떻게든 세력은 개인투자자들의 손절을 유도하며, 주가를 위아래로 흔들고 그 과정에서 어느 정도 세력이 원하는 만큼을 이뤘다면 주가를 급등하기 시작합니다.
그럼 세력은 어느 구간에서 주가를 조작하기 편할까요?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받고 매수하는 시점일까요? 아무도 관심 없고 이평선이 수렴되어 위, 아래 상승 시키기 편한 자리일까요?
▶이평선의 수렴.
이제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포인트는 이평선의 <수렴>을 봐야 합니다. 이평선의 수렴과 발산에 대해 많이 들어 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평선의 이격도 또한 많은 투자자들이 보는 지표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평선의 수렴을 가볍게 보고 넘어가서는 안됩니다. 이평선이 수렴됐다는 것은 각 이평선 매수자들의 본전이 됐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개인들은 수익이다가 본전이 오면 팔고, 손실이다가 본전이 와도 파는 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심리가 있기 때문에 5,10,20일선 반등이 일어나는데 이런 기술적 반등에 집착해서 보시면 안 됩니다.
● 이평선 수렴자리의 이해
분봉상에서 동그라미 부분과 네모 부분의 차이점이 이제 눈에 들어오시나요?
동그라미 부분은 이평선과 가격이 많이 발산되어 있는 만큼 개인투자자들 대부분이 수익인 구간입니다. 내가 세력이라면 그 구간에서 주가를 상승시켜 전고점을 넘기려고 할까요?
네모 부분은 이격도 좁고, 이평선이 많이 모여있습니다. 수익이었던 매수자들이 본전이 오는 구간이기도 하며 장기간 횡보 또는 하락하여 이평선이 모였기 때문에 손절한 개인 투자자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런 구간에서 급등이 나오며 상승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세력 또한 이 구간에서 적은 돈으로 주가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보다 안전하고 확률이 높은 이 구간에서 매매를 해야 합니다.
단순히 이평선의 수렴만을 보고 그림 맞추기를 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이전의 파동에서 어떤 흐름이 나왔고 세력이 의도적으로 이평을 수렴시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래량, 거래대금을 위주로 차트를 봐야 하며, 같은 위치에서 거래량이 줄었다면 충분히 의심을 하셔야 합니다. 그만큼 세력이 물량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겠죠?
흐름을 이해하고 이평선의 수렴을 보신다면 손실 볼 확률이 낮은 매매가 될 것입니다.
'세력주 기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력이 물량을 정리하는 방법2 (0) | 2023.02.14 |
---|---|
세력이 물량을 정리하는 방법1 (2) | 2023.02.07 |
갭이 생기는 이유. 첫번째 (0) | 2023.01.29 |
이동평균선 이해하기.(중급) (0) | 2023.01.24 |
매수하면 안되는 눌림목 (0) | 2023.01.19 |